2026년 최저시급이 고시되며 내년부터 적용될 최저임금 기준이 확정되었습니다. 매년 반복되는 이슈이지만, 실제 시급과 월급 환산 기준, 주휴수당 포함 여부, 4대 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까지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 최저임금 시급부터 월급 환산, 2025년 최저시급과의 비교, 앞으로의 인상 전망까지 핵심 정보를 정리해 드립니다. 특히 아르바이트나 단시간 근로자에게도 적용되는 기준이기 때문에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2026 최저시급 시급·월급 요약
2026년 최저임금 시급은 얼마인가요?
2026년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 최저시급 9,860원보다 460원 오른 금액이며, 인상률은 약 4.7%입니다.
- 2025년 시급: 9,860원
- 2026년 시급: 10,320원
- 인상률: 약 4.7%
월급으로 환산하면 얼마인가요?
통상적으로 최저시급을 월급으로 계산할 때는 주 40시간 근무 기준, 주휴수당 포함하여 209시간을 곱합니다.
- 계산식: 10,320원 × 209시간 = 2,157,000원
따라서 2026 최저시급 월급 기준은 2,157,000원입니다. 다만, 이는 세전 기준이며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이 공제되면 실수령액은 더 낮아질 수 있습니다.
2026 최저시급 확정 과정과 주요 배경
최저임금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최저임금은 고용노동부 산하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사용자·근로자·공익위원의 합의로 결정됩니다. 2025년 하반기, 심의와 표결을 거쳐 2026년 시급은 10,320원으로 확정됐습니다.
왜 10,320원으로 결정되었나요?
물가 상승률, 경제성장률, 실업률, 소상공인의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되었습니다. 사용자 측은 동결을 주장했고 근로자 측은 11,000원을 요구했지만, 절충안을 통해 약 4.7% 인상된 10,320원으로 조율되었습니다.
2026 최저임금이 미치는 영향
어떤 근로자에게 적용되나요?
최저임금은 모든 사업장, 모든 연령의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업종 차별 없이 시간제, 계약직, 정규직, 아르바이트 모두 동일 기준입니다.
주휴수당은 누구에게 적용되나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결근 없이 일주일을 개근한 근로자에게는 1일치 주휴수당이 추가로 지급됩니다. 이 금액이 포함되어야 법정 최저임금 기준을 만족합니다.
4대 보험을 적용하면 실수령액은?
월급 2,157,000원 기준, 4대 보험 공제를 반영한 실수령액은 약 1,930,000원 내외입니다. 고용형태에 따라 공제 비율은 다를 수 있으며, 비과세 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2025 최저시급과 비교하면?
연도별 최저임금 비교표
년도 | 시급 | 월급 (209시간 기준) |
---|---|---|
2023년 | 9,620원 | 2,010,580원 |
2024년 | 9,860원 | 2,061,540원 |
2025년 | 9,860원 | 2,061,540원 |
2026년 | 10,320원 | 2,157,000원 |
자주 묻는 질문 모음
2026 최저시급은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2026년 1월 1일부터 모든 사업장에 적용되며, 2026년 12월 31일까지 동일한 기준이 유지됩니다.
내년최저시급이 다시 변동될 가능성은 없나요?
법적으로 고시된 이후에는 특별한 사유 없이 중간에 변동되지 않습니다. 다만, 물가 급변 등의 상황이 생기면 재논의될 수 있으나, 그런 사례는 드뭅니다.
최저임금 위반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고용노동부 고객센터(☎1350) 또는 익명 신고 센터를 통해 접수할 수 있습니다. 위반 시 사업주는 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통장 압류되면 못 받나요? 실제 사례와 예방법 정리
앞으로의 인상 전망은?
정부는 2027년 이후에도 단계적인 최저임금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인건비 부담 완화 대책과 병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