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시급 주급 월급 연봉 계산하는 법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5년부터는 시급이 10,030원으로 인상되면서, 월급과 연봉에도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 ‘내 월급은 얼마나 오르는 걸까?’, ‘내 연봉은 얼마가 될까?’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월급과 연봉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실제 손에 쥐게 되는 실수령액은 얼마나 되는지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2025년 시급 주급 월급 연봉
1. 최저임금, 얼마나 올랐을까요? (시급 비교)
2024년 시급은 9,860원이었지만, 2025년에는 10,030원으로 170원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1.7%의 인상률입니다. 170원이 작아 보일 수 있지만, 하루, 한 주, 한 달, 그리고 일 년으로 계산하면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닙니다.
2. 주급 계산, 간단하게 알아보기!
주급은 주 단위로 받는 임금을 의미하며, 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계산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 10,030원(시급) x 40시간 = 401,200원(주 최저 임금)
즉, 2025년부터는 주 40시간 근무 시 최소 401,200원을 받아야 합니다!
3. 월급 계산, 이렇게 하면 쉬워요! (주휴수당 포함)
월급을 계산할 때는 주휴수당을 포함해야 합니다. 주휴수당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 휴일 수당입니다.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 209시간으로 계산합니다.
- 10,030원(시급) x 209시간 = 2,096,270원(월 최저 임금)
만약 주휴수당을 포함하지 않고 계산하면 401,200원 x 4주 = 1,604,800원이 됩니다. 주휴수당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겠죠?
4. 연봉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1년 동안 받는 총 급여)
연봉은 월급을 12개월로 곱하여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 2,096,270원(월급) x 12개월 = 25,155,240원(연 최저 임금)
연봉 25,155,240원! 하지만,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돈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세금과 4대 보험료를 제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5. 내 통장에 들어오는 돈은 얼마일까요? (실수령액 계산 및 4대 보험)
실제로 통장에 들어오는 돈, 즉 실수령액은 세전 금액에서 4대 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와 소득세 등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정확한 금액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적인 금액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간단하게 계산해보기: 온라인 최저임금 계산기나 4대 보험 계산기를 활용하면 더욱 정확한 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변화
연도 | 최저임금(시급) | 월 환산액 |
2021 | 8,720원 | 1,822,480원 |
2022 | 9,160원 | 1,914,440원 |
2023 | 9,620원 | 2,010,580원 |
2024 | 9,860원 | 2,060,740원 |
2025 | 10,030원 | 2,096,27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