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신청 방법

청년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입주 대상이 확대되었는데요. 신청 방법, 자격, 자녀 여부, 입주 기간 등을 이해하기 쉽게 말씀 드리겠습니다. 원래 청년 일자리 연계형 주택은 4개 유형으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2023년 8월 기준으로 이 유형이 통합되었는데요. 그 덕에 입주 요건이 완화되었습니다.

청년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입주 조건

어디서 일하든지 상관 없이 아래의 자격만 갖추면 청년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에 입주할 수 있습니다. 지역전략산업, 산업단지 입주기업,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청년 분들은 아래 조건을 꼭 확인하세요.

직장/사업 유형

  • 창업인
  • 지역전략산업 종사자
  • 중소기업 및 산업단지 입주기업 근무자

위의 3가지 중 한 분야에서 일하고 계시면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에 입주할 수 있습니다.

나이

만 19세~39세

결혼 및 자녀

결혼 및 자녀 요건은 아래 3가지 중 1가지만 충족해도 됩니다.

  • 혼인기간 7년 이내
  • 6세 이하 자녀가 있을 것
  • 미성년 자녀(만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경우, 5년 이상 장기 근속하신 분들만

소득 및 자산

일단 무주택 세대여야 하는데요. 소득 기준과 자산 기준 두 개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소득 기준

가족들이 버는 돈을 모두 합쳐서 월평균을 내보세요. 그 돈이 기준 중위소득 100%보다 적어야 합니다.

내가 1인 가구라면 기준중위소득의 120% 이하, 2인 가구라면 기준중위소득의 110% 이하 까지 입주할 수 있어요. 금액으로 아래에 써드릴게요.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월평균 소득>
  • 1인가구: 249만 3,398원
  • 2인가구: 380만 1,770원
  • 3인가구: 443만 4,816원
  • 4인가구: 540만 964원
  • 5인가구: 633만 688원
  • 6인가구: 722만 7,981원

자산 기준

2023년 기준으로 자산이 3억 6천 1백만원 이하이신 분들입니다. 이 금액보다 자산이 많으면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에 입주할 수 없습니다.

청년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신청 방법

LH 청약센터 > 임대주택 > 청약신청에 들어갑니다.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합니다. 행복주택 청약하는 것과 똑같은 절차인데요. 처음 해보시는 분들은 헷갈릴 수 있으니까요. 사전 연습을 꼭 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청년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청약하는 곳

거주 기간

기본 거주 기간은 6년인데요. 자녀가 있다면 10년까지 이사가지 않고 살 수 있습니다. 만약 거주 기간을 다 채웠는데도 새로 입주하려는 사람이 없다면 어떨까요? 전세처럼 2년씩 계속 연장할 수 있습니다.

재계약 가능 예시

  • 나이요건: 입주한 지 몇 년이 지나 40대가 되어도 재계약을 할 수 있습니다.
  • 신혼부부요건: 만약 이혼을 하게 되어도 재계약이 가능합니다.
  • 퇴사했더라도 바로 이사가지 않고, 1번은 재계약 할 수 있습니다.

청년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제외 대상

일자리 연계형 주택이잖아요. 그래서 일반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한부모가정은 입주대상이 아닙니다. 이 분들은 행복주택 공고 뜨면 거기에 청약하시면 됩니다.

청년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신청방법과 조건 등을 자세히 알려 드렸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글

직업훈련 생계비 대출 추가 신청 조건